■ 대기오염개론(2)
1. ISCLT
- 적용 모델식 : 가우시안 모델
- 적용 배출원 형태 : 점, 선, 면
- 개발국 : 미국
- 특징 : 미국에서 널리 이용되는 범용적인 모델로 장기 농도 계산용 모델임
2. 염화불화탄소(CFCs)의 배출원
- 스프레인 분사제
- 우레탄 발포제
- 냉장고의 냉매
3. 오존보호를 위한 국제 환경협약
- 비엔나 협약
- 몬트리올 의정서
- 런던회의
4. 지구온난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
- 해면상승은 전지구적으로 다르게 발생
- 대류권 오존의 생성반응을 촉진시켜 오존의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함
- 기온상승과 토양의 건조화는 생물성장의 남방한계와 북방한계에 영향을 줌
- 기상조건의 변화는 대기오염의 발생 횟수와 오염농도에 영향
5. 지구의 평균 지상기온
- 지구가 태양으로 부터 받고 있는 태양에너지와 지구가 적외선 형태로 우주로 방출하고 있는 에너지의 균형으로
부터 결정된다. 이균형은 대기중의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등의 적외선을 흡수 하는 기체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
6. 산성비
- 통상 pH5.6이하의 강우
- 자연 상태의 대기중에 존재하는 CO2가 강우에 흡수 되었을 때 나타나는 pH를 기준
- 산성비 생성의 주요 원인물질은 황산화물, 질소산화물 등이다
- 일반적으로 산성비에 대한 내성은 침엽수가 활엽수보다 강하다
- 상성비로 인해 호수나 강이 산성화되면 물고기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의 생장에 영향을 받는다
7. 광화학반응과 관련된 오염물질 일변화의 일반적 특징
- NO2와 HC의 반응에 의해 오전7시경을 전/후로 NO2가 상당한 율로 발생하기 시작
- NO에서 NO2로의 산화가 거의 완료되고 NO2가 최고 농도에 도달하는 때부터 O3가 증가되기 시작함
- Aldehyde는 O3생성에 앞서 반응 초기부터 생성되며 탄화수소의 감소에 대응함
- 주로 생성물로는 PAN(CH3COOONO2), Aldehyde, 과산화기, CO2, 케톤 등이 있음
- 대류권에서 오존의 농도는 NO2와 NO비, 태양빛의 강도 등에 의해 좌우된다
- PAN
ㄱ. 분자식 : CH3COOONO2
ㄴ. 생활력이 왕성한 초업의 피해가 크다
ㄷ. 잎의 밑부분이 은(백)색 또는 청동색이 되는 경향
ㄹ. 눈에 통증을 일으키며 빛을 분산시키므로 가시거리를 단축시킨다
ㅁ. 광화학스모그 : NO, PAN, HCHO(폼알데하이드)
8. 다이옥신의 광분해에 가장 효과적인 파장 범위(nm)? 250~340
9. 해륙풍
- 주간에는 바다로부터, 야간에는 육지로 부터 바람이 분다
- 낮에는 바다보다 육지가 빨리 더워져서 육지의 공기가 상승하기 때문에 바다에서 육지로 8~15km 정도까지
해풍이 분다
- 야간에는 육풍이 존재
- 육풍은 해풍에 비해 풍속이 적고, 수직 수평적인 범위도 좁게 나타나는 편
- 해풍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폐쇄된 국지순환의 결과로 해안가에 공업단지 등의 산업도시가 있는 지역에는 대기오염
물질의 축적이 일어날 수 있음
10. 지상풍 : 마찰력으로 인하여 발생
11. 국지풍
- 일반적으로 낮에는 바다에서 육지로 부는 해풍은 밤에 육지에서 바다로 부는 육풍보다 강하다(해풍 > 육풍)
- 고도가 높은 산맥에 직각으로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에 산맥의 풍하 쪽으로 고온, 건조한 바람이 부는데 이러한
바람을 휀풍이라 한다
- 열섬효과로 인하여 도시 중심부가 주위보다 고온이 되어 도시 중심부에서 상승기류가 발생하고 도시 주위의
시골에서 도시로 바람이 부는데 이를 전원풍이라 한다
12. 바람
- 북반구의 경도풍은 저기압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쪽으로 상승하면서 분다
- 마찰층내 바람은 높이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각천이가 생겨나며, 위로 올라갈수록 실제 풍향은 점점 지균풍과
가까워 진다
- 산풍은 경사면->계곡->주계곡으로 수렴하면서 풍속이 가속되기 때문에 낮에 산위쪽으로 부는 곡풍보다 더 강하다
(산풍 > 곡풍)
13. 경도풍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힘
- 전향력, 원심력, 기압경도력
- 등압면이 곡선일 때에 부는 바람 : 경도풍
14. 마찰층
- 마찰층 내의 바람은 위로 올라갈수록 실제 풍향은 서서히 지균풍에 가까워 진다
- 마찰층 내의 바람은 위로 올라갈수록 그 변화량이 감소한다
- 마찰층 이상 고도에서 바람의 고도 변화는 근본적으로 기온 분포에 의존한다
- 마찰층 내의 바람은 높이에 따라 항상 시계방향으로 각천이가 생긴다
15. 전향력
- 운동방향은 변화시키고, 속도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
- 북반구에서는 항상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방향의 오른쪽 직각방향으로 작용, 남반구에서는 왼쪽 직각방향으로 작용
- 극지방에서 최대가 되고 적도지방에서 최소가 된다
- 크기는 위도, 지구자전 각속도, 풍속의 함수로 나타낸다
- 위도가 높아질수록 전향력도 커지게 된다
- 지구의 자전운동에 의해서 생기는 속도에 의한 힘
16. 기압경도력
- 수평 기압경도력 : 등압선의 간격이 좁으면 강해지고, 반대로 간격이 넓어지면 약해진다
17. 바람장미
- 바람장미는 풍향별로 관측된 바람의 발생빈도와 풍속을 16방향인 막대기 형으로 표시한 기형도
- 관측된 풍향별 발생빈도를 %로 표시한 것을 방향량이라 한다
- 가장 빈번히 관측된 풍향을 주풍이라 하고, 막대의 길이를 가장 길게 표시한다
- 막대기의 굵기는 풍속을 의미한다
- 풍속이 0.2m/sec이하일 때를 정온상태로 본다